안녕하세요. 지난 1편 글에 이어서 작성되는 포스팅입니다. 이번이 엔씨소프트에 관한 직접적인 글인데 바로 이 글을 읽으셔도 괜찮긴 하지만 앞에 글을 먼저 정독하시는 게 글의 흐름상 유연할 뿐만 아니라 이해하시는데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stock-specialist.com/24
엔씨소프트 전망 및 분석 - 게임인식의 변화 - 1
안녕하세요. 전업투자자 연정맘입니다. 오늘 살펴볼 기업은 엔씨소프트입니다. 처음부터 말하자면 전 게임주를 투자할 상황도, 능력도 되지 않습니다. 장기간 엔씨소프트의 상승세가 좋았기 때
stock-specialist.com
1편 글 링크해놓겠습니다.
1편의 요약은 '게임에 대한 선입견이 많이 사라지고 현재는 하나의 취미생활로 부각되고 있다.' 입니다. 그러면 당연히 그러한 배경 속에 수혜주가 생기는 게 당연하겠죠? 최근 엔씨소프트가 대장 노릇을 했던 것 같습니다. 시총도 큰 기업이고 그 시총에 걸맞은 수익도 나고 있었으니 돈이 몰릴 수밖에 없죠. 최근 5~6년, 길게 보면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꾸준한 성장과 더불어 주가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그냥 단순히 회사가 잘해서 돈만 잘 버는 회사가 아니라 사람들의 인식개선과 함께 산업이 성장하면서 전체 파이가 커져서 그 기대감이 주가로 반영되고, 반영된 주가에 부합하는 실적을 내는 것이 반복되는 선순환을 이룬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엔씨소프트 상장은 2003년도에 했고 테헤란로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테헤란로 하면 우리나라의 대기업과 IT기업, 코스닥 벤처기업이 줄줄이 모여있는 강남의 핵심지역이죠. 김택진 회장 외 9명이라 되어있는데 실제로 김택진 회장이 12% 다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되고, 국민연금도 11%나 되는 지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기금이 많은 지분을 가진 기업인 만큼 우리 국민들의 재산과도 밀접한 연관히 있는 기업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 외는 넷마블, 자사주, 블랙록 펀드가 차지하고 있네요.
엔씨소프트는 1998년 '리니지'라는 게임으로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알리며 출발을 하였습니다. 그 이후 블레이드소울, 아이온 같은 대작을 발표하고 준수한 이익을 거두긴 했지만 트레이드마크인 리니지의 아성에 견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가장 최근인 2020년 1분기 매출을 살펴보겠습니다. PC게임보다는 모바일 게임에 매출이 집중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이것도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일종의 트렌드 변화 때문일 것입니다. 모바일 매출이 75.6%이고 PC와 로열티 매출을 합한 값이 24.4%입니다. 모바일에서 3배 이상의 수치가 나오네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그림을 가져왔습니다. 편의를 위해 엑셀 창에서 작업을 옮겨했습니다.
모바일 게임은 전부 리니지와 관련된 리니지 M과 리니지 2M 임을 알 수 있습니다. PC 영역에서도 리니지와 리니지 2가 상위 매출을 석권하고 있어서 전체 매출 중 리니지와 관련된 매출이 91%네요. 그냥 리니지 회사라고 불러도 무방할 듯합니다. 작년 11월 리니지2M Launching으로 매출이 급격하게 상승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리니지M 매출보다 1.5배가량 높은 아주 좋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네요.
그렇기 때문에 올해인 2020년 예상 컨센서스가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엔씨소프트 주봉 차트입니다. 리니지2 M 첫 Launching 시작한 주가 두 번째 봉 차트입니다. 보통 재료가 오픈되고 나면 주가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죠? 그렇기 때문에 주봉상 음봉이 떨어졌고 이러한 대형 프로젝트가 오픈되기 전엔 사전에 기사도 많이 뜨고 사람들이 기대치도 높아집니다. 하지만 그 높아진 기대치 때문에 막상 뚜껑이 열리고 보면 실망을 하는 사람들이 많고 이때까지 많은 사례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차익실현 물량이 나오게 되는 것이죠.
그런데 그 기대감을 만족시켜주면 어떨까요? 그것이 실적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고 실제로도 괄목적인 성과를 내버렸던 것이 엔씨소프트의 리니지2M 이었습니다. Launching 주의 저점 대비 2.1배 상승이 일어났습니다. 몇백억, 몇천억 짜리 기업 아닙니다. 10조가 넘는 기업에서 이런 일이 발생을 한 것이죠.
시장의 비슷한 산업군 한계를 극복한 사례라고 할 수 있겠네요.
기업개요와 리니지의 매출 비중, 게임주에서 흔히 일어나는 차트 형태를 살펴보았습니다.
나머지 3편에서 현재 조정받고 있는 엔씨소프트 핵심 게임인 리니지에 대해서 추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밸류&차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넥슨지티(전망 및 분석) - 넥슨지티와 넥슨 1편 (0) | 2020.07.24 |
---|---|
엔씨소프트 전망(차트 및 주가밸류분석) - 3편 (0) | 2020.07.24 |
엔씨소프트 전망 및 분석 (게임인식의 변화) - 1편 (0) | 2020.07.24 |
대한화섬 분석 및 주가전망 - (저평가 자산주) (0) | 2020.07.24 |
저평가 자산주란?(feat.대한화섬) (0) | 2020.07.23 |